Hanos' Diary #358, 수요일, 흐리고 조금 시원
한동안 선풍적으로 전자제품 광고에 등장하던
'초소형, 초경량'이라는 단어를
요즘엔 쉽게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.
이유는 간단하다.
결국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컨트롤하지 못 할 만큼
작고 가벼워져버린 것이다.
CDP나 워크맨이 CD, Tape 보다 작아질 수 없는 것 처럼 말이다.
사람 손가락으로 누를 수 없는 사이즈,
사람의 눈으로 알아볼 수 없는 크기의 제품은 만들 필요가 없다.
포터블 음향 기기의 음원이 CD, Tape 을 벗어난 이후에
다시 작아지기 시작한 것 처럼
핸드폰이나 PDA의 경우 새로운 in/output 장치가 나오지 않는 한
당분간 초소형, 초경량 이야기는 나오지 않을거다.
지금 키보드보다 더 작은 키보드는 아무리 만들어도 불편할 뿐이다.
물론 여러번 접히게 디자인되었다거나
특수물질로 만들어 말아서 다니는 키보드가 있지만
결국엔 사람 손가락보다 작아질 수 없다.
완벽한 음성인식 시스템이나
허공에 손짓하면
입력장치가 홀로그램으로 나타나는 날이 올거다.
디자이너들은 그 때를 대비해야 한다.
차라리...
머리깎고 산으로 가는게... -_-;;
한동안 선풍적으로 전자제품 광고에 등장하던
'초소형, 초경량'이라는 단어를
요즘엔 쉽게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.
이유는 간단하다.
결국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컨트롤하지 못 할 만큼
작고 가벼워져버린 것이다.
CDP나 워크맨이 CD, Tape 보다 작아질 수 없는 것 처럼 말이다.
사람 손가락으로 누를 수 없는 사이즈,
사람의 눈으로 알아볼 수 없는 크기의 제품은 만들 필요가 없다.
포터블 음향 기기의 음원이 CD, Tape 을 벗어난 이후에
다시 작아지기 시작한 것 처럼
핸드폰이나 PDA의 경우 새로운 in/output 장치가 나오지 않는 한
당분간 초소형, 초경량 이야기는 나오지 않을거다.
지금 키보드보다 더 작은 키보드는 아무리 만들어도 불편할 뿐이다.
물론 여러번 접히게 디자인되었다거나
특수물질로 만들어 말아서 다니는 키보드가 있지만
결국엔 사람 손가락보다 작아질 수 없다.
완벽한 음성인식 시스템이나
허공에 손짓하면
입력장치가 홀로그램으로 나타나는 날이 올거다.
디자이너들은 그 때를 대비해야 한다.
차라리...
머리깎고 산으로 가는게... -_-;;
'dia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동대학교 (0) | 2002.08.03 |
---|---|
무라카미 류 (0) | 2002.08.01 |
월드컵 그 이후 1달 (0) | 2002.07.30 |
헤드헌터 (0) | 2002.07.29 |